【제1편총론】
제1장 푸드 나노테크놀로지 개론(나카지마
히카루 사토시, 오오타니 토시로)
1. 처음에
2. 식품 분야에의 나노테크놀로지의
응용
3. 나노 식품의 현상
4. 농림 수산성 나노테크놀로지
프로젝트
5. 미국 농무성에 있어서의 나노테크놀로지
연구의 동향
5.1 USDA에 있어서의 나노테크놀로지
연구의 경위
5.2 USDA/CSREES에 있어서의
연구예
6. 그 외의 식품 나노테크놀로지
연구 개발의 동향
6.1 나노텍에 대한 기본 자세와
개발의 골조
6.2 나노텍의 정의
6.3 안전성에 대한 기본 인식
6.4 리스크 평가에 있어서의
구체적 문제점
6.5 나노텍 안전성 연구의 큰
범위
6.6 최근의 안전성 평가의 국제
동향
7. 끝에
제2장
식품 나노테크놀로지 프로젝트(스기야마자,
오오타니 토시로)
1. 처음에
2. 나노 스케일의 정의
3. 나노 스케일 식품과 시장규모
예측
4. 식품 나노테크놀로지에 관한
해외 연구 동향
5. 식품 나노테크놀로지 프로젝트의
목적과 개요
5.1 「식품 소재의 나노 스케일
가공 기반기술의 개발과 생체
영향평가」
5.1.1 식품 소재의 나노 스케일
가공 기반기술의 개발
5.1.2 식품 소재의 물리화학적
특성·가공 적성등의 해명
5.1.3 실험동물등을 이용한 식품
소재의 체내 동태 평가
5.1.4 식품 소재의 품질 안정성
5.2 「식품 소재의 나노 스케일
평가 기술의 개발과 신기능의
해명」
5.2.1 식품 소재의 나노 스케일
평가 기술의 개발
5.2.2 나노테크놀로지에 의한
식품 소재의 신기능 해명
5.3 프로젝트의 진척 상황
6. 끝에
제3장
푸드 나노테크놀로지의 사회 실장의
길 붙여(야마구치부자)
1. 처음에
2. 푸드 나노테크놀로지를 둘러싸는
사회적 문맥
3. 시민과의 커뮤니케이션-생각과
활동의 형태-
4. 나노테크놀로지에 관련되는
커뮤니케이션
5. 끝에
【제2편식품의
나노 스케일 계측 기술】
제1장 나노테크놀로지 응용에
의한 식품 계측 평가 기술(스기야마자,
츠카모토 카즈미, 와카야마 쥰이치,
오오타니 토시로)
1. 처음에
2.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SPM)
3. 식품 미세 구조 해석 툴로서의
AFM
3.1 전분 입자의 구조 계측
3.2 초콜릿의 표면 구조 계측
4. 식품 나노 센서로서의 AFM
4.1 AFM에 의한 알레르겐 검출의
원리
4.2 AFM에 의한 알레르겐 검출의
예
5. 끝에
제2장
식품 나노 스케일 관찰을 위한
주사 프로브 현미경 기술(무라마츠
히로시)
1. 처음에
2. AFM에 의한 관찰의 원리
2.1 AFM 관찰 모드의 종류
2.2 컨택트 모드 AFM의 원리
2.3 friction 모드
2.4 점탄성 이메징
2.5 사이클릭 컨택트 모드 AFM의
원리
3. 식품 나노 스케일 관찰을
위한 프로브 기술
3.1 AFM에 의한 식품 나노 스케일
관찰의 특징
3.2 마이크로 미츠조형법에 따르는
수지 프로브의 개발
3.3 장탐침수지 프로브의 개발
제3장
식품 나노 스케일 관찰을 위한
주사형 전자현미경 기술(츠카모토
카즈미)
1. 처음에
2. 주사형 전자현미경의 원리
3. 쌀 전분의 SEM 관찰
4. 쌀가루(현미, 정미)의 SEM
관찰
5. 정리
제4장
식품 나노 스케일 관찰을 위한
투과형 전자현미경 기술(이치카와
창작, 이쿠히로 후미코)
1. 처음에
2. 투과형 전자현미경 시료의
제작 방법
2.1 박절법
2.1.1 액체 시료의 사전 처리
2.1.2 고정
2.1.3 고정법
2.1.4 탈수
2.1.5 치환과 수지 침투
2.1.6 포매
2.1.7 박절의 제작과 회수
2.1.8 전자 염색
2.2 프리즈 프랙션 차-법(동결할단레플리카법)
2.3 네가티브 염색법
2.4 쿠라이오 투과형 전자현미경
3. 투과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나노 분산계의 관찰
3.1 리포솜(베시크루)
3.2 나노사이즈에마르션
3.3 카로텐나노 입자
4. 끝에
제5장
마이크로·나노 화학 시스템에
의한 나노 입자 분석법(화 하라
아키라수)
1. 처음에
2. 마이크로·나노 공간을 이용한
화학 프로세스
3. 입자 분석법
4. 끝에
제6장
식품중의 물의 이메징(나카니시
토모코, 타노이 케이타랑)
1. 처음에
2. 중성자선에 의한 물의 이메징
3. 실험 방법
3.1 X선필름법
3.2 CCD 카메라법(CT이메징)
4. 중성자 이메징
4.1 오징어 오징어
4.2 전갱이
5. 끝에
제7장
원자간력 현미경에 의한 식품의
상호작용 평가(코보리 토시로우)
1. 처음에
2. AFM의 화상화 원리
3. AFM의 화상화 모드에 의한
식품 성분의 상호작용 평가
3.1 pH의존적인 감기 이너 도륨소금과
키산탄감의 상호작용 해석
3.2 미분 재미가루의 분해 과정의
시간 경과 관찰
4. AFM의 역학 측정 모드에 의한
식품 성분의 상호작용 평가
5. AFM 측정의 권유
6. 끝에
【제3편식품의
나노 스케일 가공 기술】
제1장항산화 나노 식품 소재의
제조(Marcos A.Neves, 나카지마
히카루 사토시, 고바야시 이사오)
1. 처음에
2. 나노에마르션 및 나노 입자
분산계의 제조 방법
2.1 고압 유화법
2.2 액중 건조법
2.3 용매 치환법
2.4 자체 조직화법
3. 에마르션 및 그 내포 성분의
안정성
4. 끝에
제2장
식품 기능 성분의 마이크로·나노
캡슐화 기술(후루타 타케시, Vita
Paramita, Neoh Tze Loon, 요시이
히데후미)
1. 처음에
2. 기능성 성분 분말화의 의의와
분말화 수법
3. 분무 건조에 의한 식품 플래이버
분말의 제작
3.1 분무 건조법
3.2 분무 건조에 의한 액체 플래이버의
분말화
3.3 유리 전이 온도와 건조 입자의
부착성
4. 분무 건조 분말의 특성 평가
4.1 유리 전이 온도와 플래이버의
서방특성
4.2 분무 건조 플래이버의 산화
5. 분무 건조 입자의 Morphology
5.1 건조 입자의 구조와 건조
조건
5.2 CLSM에 의한 분무 건조 입자의
형태 변화의 측정과 플래이버서방해석
6. 끝에
제3장막유화법을
이용한 나노 스케일 식품의 개발(시미즈
마사타카)
1. 처음에
1.1 나노 스케일 식품
1.2 최근의 에마르션 식품
2. 막유화법에 따르는 나노에마르션의
생성
2.1 직접 유화법
2.2 막투과법
2.3 나노 스케일의 특징
2.4 막유화에 이용되는 다공질
유리막과 막유화 장치
3. 에마르션의 제품화
3.1 O/W에마르션
3.2 W/O에마르션
3.3 W/O/W에마르션
3.4 S/O/W에마르션
4. 에마르션을 경유해 제조되는
고체 나노 캅셀
5. 나노 S/O서스펜션
6. 끝에
제4장
나노 정도 가공 기술과 마이크로
채널 유화 시스템(고바야시 이사오,
나카지마 히카루민)
1. 처음에
2. 마이크로/나노 채널의 가공
기술
3. 마이크로 채널 유화 시스템
4. 마이크로 채널 유화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채널의 미세화
5. 마이크로 채널 유화를 이용한
나노 스케일 액체방울·입자 분산계의
제작
6. 끝에
제5장
곡류의 맷돌식 제분에 의한 저온
미분쇄기술(호리가네 아키라,
키타무라 요시아키, 홋타자)
1. 처음에
2. 곡류의 미분쇄화에 있어서의
문제점
3. 맷돌식 제분법에 따르는 미분쇄기술
4. 공업용의 맷돌식 제분 장치
5. 맷돌식의 미분쇄기술의 개발
6. 공업용의 저온 제분 장치
7. 미 용의 저온 제분 장치
8. 저온 제분법에 따르는 곡류의
미분쇄화 기술
9. 끝에
제6장
제트 밀등에 의한 곡류의 미분쇄(강류히로시)
1. 처음에
2. 곡류의 제분 기술의 현상에
대해
2.1 밀의 제분에 대해
2.2 미의 제분에 대해
2.2.1 쌀가루 제조에 사용되는
분쇄기에 대해
2.2.2 미의 제분 방법과 쌀가루의
품질 특성에 대해
3. 제트 밀등에 의한 미분쇄기술의
개발 연구에 대해
4. 끝에
제7장
마이크로·나노 버블수의 제조와
이용(허청이, 나카무라 선귀,
시이나 타케오)
1. 마이크로·나노 버블수의
제조
1.1 마이크로·나노 버블의 제조
기술
1.2 마이크로·나노 버블수의
물성과 제조 기술
1.3 마이크로·나노 버블의 물성과
첨가제
2. 마이크로·나노 버블수의
식품 분야에의 이용
2.1 농업에의 이용
2.2 수산업에의 이용
2.3 배수 처리에의 이용
2.4 살균에의 이용
3. 끝에
제8장
다공질 유리막에 의한 마이크로/나노
버블의 생성 기술(쿠키기마사토)
1. 처음에
2. 다공질 유리막을 이용하는
나노 버블/마이크로 버블 생성법
3. 나노 버블/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4. 다공질 유리막의 작성법과
특징
5. 나노 버블/마이크로 버블의
생성 조건
6. 나노 버블/마이크로 버블의
특성
7. 나노 버블/마이크로 버블의
식품 분야에의 응용
8. 끝에
【제4편식품의
나노 스케일 평가 기술】
제1장 나노 스케일 식품 소재의
제작과 특성 평가(이치카와 창작)
1. 처음에
2. 식품 기능 성분의 담체로서의
린 지방질 리포솜(베시크루)의
제작과 평가
2.1 나노 사이즈에 제어된 리포솜의
제작과 평가
2.1.1 나노사이즈리포솜의 제작
2.1.2 나노사이즈리포솜의 동적광산란법에
따르는 사이즈 평가
2.2 지방질 피복얼음 타루미즈화법에
따르는 베시크루의 사이즈 제어와
물질 내포율의 향상
2.2.1 지방질 피복얼음 타루미즈화법에
따르는 베시크루의 제작법
2.2.2 베시크루에의 친수성 물질의
내포화
3. 키토산 및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의
효소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나노
입자 형성
4. Chemo-enzymatic법에 따르는
부모님매성 키토산 올리고당의
조제와 그 나노 집합체 형성
5. 끝에
제2장
나노 스케일 식품의 항산화성의
평가(아다치 슈우지)
1. 처음에
2. 에마르션계에 있어서의 지방질
산화
3. 산화 속도 정수에 미치는
분산 입자 지름의 영향을 평가하는
모델
4. 미셀계로의 지방질 산화
5. 분말화 지방질의 산화 과정에
미치는 기름 방울지름의 영향
6. 분산 안정성에 미치는 입자
지름의 영향
7. 끝에
제3장
나노 입자의 구조 발현과 제어
기술(사토 키요타카, 우에노 사토시,
아리마 테츠후미, 사카키 오오타케)
1. 처음에
2. 식품에 있어서의 지방질 나노
입자의 기능성
3. 지방질 나노 입자의 물성
3.1 나노 입자에 있어서의 결정화
온도와 융점의 강하 현상
3.2 나노 입자에 있어서의 계면현상을
이용한 결정화 조절
3.3 결정화를 야기 된 나노 입자에
있어서의 어유의 산화 지연 효과
4. 끝에
제4장
곡류 및 전분 소재 미립자의 특성
해석(마츠무라 야스오)
1. 처음에
2. 종래의 곡류 분말의 이용(쌀가루를
중심으로)
3. 미분쇄화 기술에 의해 개발된
식품 소재의 실례
4. 전분 소재의 미립자
5. 미분 재미가루의 특성 해석
제5장
미분쇄곡류의 품질과 이용 특성(시미즈
나오토)
1. 처음에
2. 곡류 미분쇄와 쌀가루의 기본
성질과 상태에 대해
3. 쌀가루의 저장성
4. 쌀가루의 호화 특성
5. 끝에
제6장
마이크로·나노 버블수의 동적
특성 평가(오게 세이치)
1. 처음에
2. 마이크로 버블의 득실
3. 나노 버블의 존재의 검증과
물의 동적 특성
4. 끝에
제7장
나노 스케일 식품 소재의 리스크
평가(야마나카 노리코)
1. 처음에
2. 리스크 어널리시스
3. 나노 매테리얼의 리스크 평가의
현상
4. 식품에 대한 리스크 평가의
특징
5. 신규 식품에 대한 리스크
인식
6. 나노 스케일 식품 소재의
리스크 평가를 향해서
제8장
나노 스케일 식품의 면역 학문적
안전성의 해석(사토 에이스케,
이노우에 타다시강)
1. 처음에
2. 음식 알레르기
3. 여러 가지의 음식 알레르겐
4. 미 알레르기와 알레르겐
5. 미 알레르겐 단백질
6. 농약의 문제
7. 비-너트 알레르기
8. 코점막을 개입시킨 알레르기
9. 나노 식품의 면역 학문적
안전성의 해석
제9장
식품 소재의 나노 스케일화가
경구 섭취했을 때의 생체 응답성에
미치는 영향(와타나베 쥰)
1. 처음에
2. 소화관의 바리어 기능
3. 마이크로·나노 입자가 장관으로부터
흡수될 가능성
4. 식품 성분의 베시크루 담지에
의한 생체 응답의 수식
4.1 베시크루 담지 단백질의
안정성 향상과 기능성 발현
4.2 단백질의 베시크루 담지에
의한 면역 응답성의 수식
4.3 비단백성 식품 성분의 베시크루
담지에 의한 생체 응답의 수식
5. 나노 입자화에 의한 음식
알레르기 억제의 가능성
6. 정리
제10장
바이오앗세이에 의한 나노테크놀로지
효과의 평가(의전히로코, 한?규)
1. 처음에
2. 식품 유래 기능성 성분에
대해서의 나노테크놀로지 기술의
평가
2.1 나노화한 식품 성분이 장관
표피 세포의 배리어 기능에 미치는
영향
2.2 식품 성분의 나노화에 의한
장관 흡수율에 있어서의 영향
2.3 식품 성분의 나노화에 의한
장관 표피 흡수 경로에 있어서의
영향
3. 화장품 성분에 대해서의 나노테크놀로지
기술의 평가
3.1 나노화한 화장품 성분이
피부 표피 세포의 배리어 기능에
미치는 영향
3.2 화장품 성분의 나노화에
의한 피부 표피의 흡수율에 있어서의
영향
4. 끝에
제11장
마이크로칩을 이용한 나노 스케일
식품의 바이오 어베일러빌리티
평가 기술(사토기일)
1. 처음에
2. 마이크로칩을 이용한 바이오앗세이
2.1 마이크로칩이란
2.2 마이크로바이오앗세이
3. 바이오 어베일러빌리티 시험을
위한 마이크로칩
4. 끝에
【제5편나노테크놀로지의
식품에의 응용】
제1장 식품 회사는 나노테크놀로지에
무엇을 기대할까(도웅륭박)
1. 처음에
2. 라이프 스테이지와 식사의
섭취하는 방법
3. 음식의 미세화에의 기대
3.1 제1차 기능:영양
3.2 제2차 기능:맛
3.3 제3차 기능:생체 조절
4. 정리
제2장
감성 나노 바이오 센서에 의한
식품 측정(도갑결)
1. 처음에
2. 감성 나노 바이오 센서(미각
센서와 냄새나 센서)
3. 식품의 맛
4. 휴대용 미각 센서
5. 냄새의 계측
6. 전망
제3장 β-한패
캔의 제조(스가 테츠야)
1. 생체 방어 기능(면역 활력)
성분:β-1,3-한패 캔
2. 표고버섯 유래β-한패 캔(렌치
낭)의 식품 기능 소재로서의 유용성
3. β-한패 캔의 식품 기능 소재로서의
유효성:유효 성분의 분류와 함유량의
보증(제품의 품질 보증)
4. 기능 식품의 최종 형태로의
사람에 있어서의 안전성·유효성의
검증
5. 끝에
제4장
나노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포장재료
기술 「투명 증착 필름」(마츠이
시게키)
1. 처음에
2. 투명 증착 필름 개론
2.1 투명 증착 필름의 변천
2.2 각종 투명 증착 필름의 일반
물성
2.2.1 실리카 증착 필름
2.2.2 알루미나 증착 필름
2.2.3 특수 실리카 증착 필름(IB-Film)
3. 투명 증착 필름의 최신 기술
동향
3.1 하이 장벽 증착 필름
4. 끝에
제5장
고압 유화 기술에 의한 식품의
나노 스케일화(樺나무 카즈유키)
1. 처음에
2. 나노 스케일화에 대해
2.1 분쇄
2.1.1 처방적 분쇄와 기계적
분쇄
2.1.2 분쇄 방법
2.2 유화나 분산에 사용할 수
있는 기계력
2.2.1 유화에 유효한 기계력:전단력
2.3 유화 기술의 이용
2.3.1 처방적 유화와 기계적
유화
2.3.2 식품의 유동학
3. 나노에마르션에 대해
3.1 나노에마르션의 처방예와
조제 방법
3.2 나노에마르션의 제조 장치
3.3 유화제량과 입자 지름의
관계
3.4 유화제의 기능
3.5 화장품에 있어서의 나노에마르션의
효과
4. 지방 유제
4.1 지방 유제의 처리예
4.2 지방 유제의 제조 프로세스
5. 식품에 있어서의 고압 호모지나이저의
이용
5.1 최근의 고압 호모지나이저의
사용예
6. 리포솜(나노 캅셀)
6.1 DDS에 적절한 리포솜의 입자
지름
6.2 리포솜의 혈중에서의 안정화
6.3 리포솜 제재의 유용성
6.4 리포솜의 제조 방법
6.5 리포솜의 보존 안정화
7. 고압 호모지나이저에 의한
그 외의 예
7.1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한
투명한 에마르션의 조제
7.2 다상 에마르션의 조제 과정으로의
고압 호모지나이저에 의한 나노에마르션
조제
7.3 유화제가 적은 계로의,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한 에마르션의
조제에 있어서의 새로운 유화제
선정의 생각
8. 식품에 있어서의 고압 호모지나이저
사용의 기대되는 효과
9. 나노테크놀로지의 향후
10. 끝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