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교육과정, 이래서 문제다 | ||
이덕환의 과학문화 확대경 |
||
![]() 물론 과학기술계의 입장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고등학교 2·3학년 동안에 수학 6과목, 과학 8과목, 기술·가정 6과목을 포함하는 20개의 ‘과목군’에서 “1과목 이상”을 필수로 이수하게 만든 것이다. 수학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과학을 배우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목이다. 수학과 과학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선택해서 배워서는 아무 쓸모가 없다. 더욱이 과학의 응용이라고 볼 수 있는 기술·가정을 같은 선택 대상으로 만든 것도 문제다. 결국 새 교육과정에서는 고 2·3에서 과학을 전혀 배우지 않고도 졸업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고등학교 1학년(10학년)의 ‘과학’의 시수를 주당 3시간에서 4시간으로 확대한 것을 자랑하는 교육부의 주장에도 문제가 있다. 문제의 ‘과학’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을 물리적으로 통합한 것으로 갑자기 등장한 ‘통합과학’ 교사들이 담당한다. 그러나 그 실효성에 대해서는 심각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번 개편 과정에서 심각한 문제가 불거졌던 '사회‘도 똑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우선 아직까지 전국의 어느 대학에서도 진정한 ‘통합과학’ 교사를 양성하지 못하고 있다.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중의 하나를 전공하고 교사임용과정에서 '통합과학‘ 전공의 교사 자격증을 취득한다. 결국 모든 통합과학 교사들은 교육 내용 중 75퍼센트를 자신의 전공과 다른 분야를 가르쳐야 하는 셈이다. 통합과학의 내용이 중학교 과정과 고등학교 심화과정을 원활하게 연결시켜주는 본래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계속되어 왔다. 그런 과목의 시수를 1시간 확대하는 것으로 과학교육을 강화했다고 할 수는 없다. 새 교육과정의 문제가 과학에만 한정된 것도 아니다. ‘국어’, ‘도덕’, ‘사회’의 19개 과목이 동일한 ‘과목군’으로 묶인 것도 심각한 문제다. 과학과 마찬가지로 국어를 전혀 배우지 않고도 졸업이 가능하다. 국가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기막힌 일이다. ‘영어’와 함께 묶여버린 ‘제2외국어’의 앞날도 불투명하다. 문제의 핵심은 비현실적이고 불합리적인 선택권이다. 2년 동안 22과목을 이수해야 하는 학생들에게 78과목을 제공하는 것이 문제다. 그렇게 많은 과목의 교과서를 개발하고, 교사를 확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렇지 않아도 교실과 교사의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의 고등학교 중에 그렇게 많은 선택과목을 운영할 수 있는 학교도 없다. 교육청과 학교에서 선택 과목을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할 것이라는 교육부의 주장은 황당한 것이다. 결국 새 교육과정의 선택권은 학생이 아니라 교육청과 학교에 주어진 것이라는 뜻이다.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과 체제를 유지’하면서 ‘운영상의 문제를 보완하는 수준’에서 개정의 폭을 최소화하겠다는 교육부의 당초 목표부터 크게 잘못된 것이었다. 제7차 교육과정은 그동안 심각한 문제를 드러냈던 완전한 실패작이었다. 우리의 학제와는 어울리지 않는 영국의 제도를 들여온 것부터가 잘못이었다. 우리의 6·3·3 학제를 무시하고 고등학교 1학년(10학년)까지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고등학교 2·3학년(11·12학년)의 ‘선택중심교육과정’으로 구분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11·12학년의 선택과정이 비현실적으로 확대된 것은 10학년까지의 지나치게 경직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때문이다. 교육부가 인식한 ‘운영상의 문제’도 잘못된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학생들이 수학, 사회, 과학을 외면했던 것이다. 인문계로 진학하는 학생들은 수학과 과학을 완전히 외면하고, 이공계로 진학하는 학생들은 사회를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 그나마의 교육도 지극히 비효율적이었다. 학생들이 예체능을 선택하지 않았던 것은 사소한 문제였다. 더욱이 체육과 음악·미술을 필수로 하는 대신 부담을 줄여준다는 발상은 설득력이 없다. 이번에 교육부가 확정한 ‘새 교육과정’은 반드시 재개정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제7차 교육과정의 문제를 정확하게 분석해야 한다. 지나친 선택과목 때문에 발생한 교육 현장의 문제부터 정확하게 확인해야만 한다. 정확한 현실 파악을 근거로 우리의 미래에 대한 확실한 비전을 담은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
http://www.sciencetimes.co.kr/data/article/19000/0000018868.jsp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ceptdraw mindmap (0) | 2007.04.11 |
---|---|
top 10 discoveries in Science (14) | 2007.04.03 |
제 6 차 공통과학 (0) | 2007.02.17 |
마인드 맵 (0) | 2004.11.28 |
[펌] 과학영재학교 계획 (0) | 2004.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