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이동설>
대륙이 맨틀 위를 떠다니며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대륙표리설이라고도 한다. 독일의 기상학자이자 지구물리학자인 베게너는 1915년 대륙이동설을 제시했다. 현재의 대륙은 판게아라 이름 붙인 초기의 커다란 하나의 대륙에서 갈라져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대륙이동의 증거
첫 번째, 남아메리카 대륙의 동쪽부분과 아프리카 대륙의 서쪽부분의 해안선의 모습은 비슷하다. 1960년대 대륙의 실제 경계인 대륙붕까지의 지도 가 만들어졌고 두 지역이 잘 맞아들어 간다는 사 실을 알게 되었다.
두 번째, 남아메리카대륙과 아 프리카대륙에서 공통적인 생물 화석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대륙이 붙어 있었다면 이 동물은 걷거나 뛰어서 이동했겠지만 떨어져 있었다면 넓은 남대서양을 날거나 헤엄쳐서 이동했을 것이다. 만약 날거나 헤엄쳐 남대서양을 건널만한 능력이 있었 다면 화석은 남아메리카대륙과 아프리카대륙만이 아닌 또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되어야만 한다. 하 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세 번째,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에서 같은 구조와 암석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애팔래치아산맥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산맥을 붙이면 산맥은 연장되고 발견되는 암석들이 비슷하다.
마지막은 고기후의 문제다. 인도와 호주 등 적도부근의 지역에서도 빙하의 흔적이 나타난다. 이 지역들이 계속해서 적도 부근에 있었다면 빙하는 이들 지역에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베게너는 이러한 증거들을 제시하면서 대륙이동설을 주장했다. 하지만 여전히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대륙이 이동하는 이유, 즉 대륙을 이동하게 하는 힘을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학자들이 연구(바다 내부의 모습을 지도로 만들 수 있게 되었고, 지진에서 발생된 지진파를 통해)를 통해 증거들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대륙을 이동시키는 힘은 맨틀의 대류라 제시하며 대륙이동설을 판구조론으로 발전시켰다.
<판구조론>
대륙이동설에서 발전된 판구조론은 움직이는 대륙을 판으로 정의하고 움직이는 원동력을 맨틀의 대류로 설명하였다. 판은 지각과 최상부의 맨틀로 이루어진 암석권의 조각이다. 암석권의 조각이 유동성을 갖는 맨틀의 일부인 연약권 위를 움직인다. 이러한 판의 움직임으로 지진, 화산활동, 구조산맥들이 생겨난다. 지구를 덮고 있는 판은 커다란 7개의 판-북아메리카판, 남아메리카판,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인도-호주판, 남극판-과 중간크기의 카리비안판, 나쯔카판, 필리핀판, 아라비아판, 코코스판, 스코티아판, 그리고 이외의 작은 여러 개의 판이 있다. 이러한 판들은 서로 그 끝은 맞대고 있는데 그 경계는 판이 소멸되는 수렴경계와 판이 생성되는 발산경계, 유지되는 보존경계가 있다.
대륙이동설은 과거의 지구 모습과 맨틀의 대류에 의한 판의 이동 현상을 연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예전 지구의 모습과 기후 등을 연구할 수 있었다. 지금 일본의 강 지진(태평양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침강)이나 태평양 섬들의 소멸 등의 현상은 대륙이동설로서 설명이 가능하므로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지구의 모습변화에 대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는데 대륙이동설이 과학적으로 중요성을 갖는다.
대륙이 맨틀 위를 떠다니며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대륙표리설이라고도 한다. 독일의 기상학자이자 지구물리학자인 베게너는 1915년 대륙이동설을 제시했다. 현재의 대륙은 판게아라 이름 붙인 초기의 커다란 하나의 대륙에서 갈라져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대륙이동의 증거
첫 번째, 남아메리카 대륙의 동쪽부분과 아프리카 대륙의 서쪽부분의 해안선의 모습은 비슷하다. 1960년대 대륙의 실제 경계인 대륙붕까지의 지도 가 만들어졌고 두 지역이 잘 맞아들어 간다는 사 실을 알게 되었다.
두 번째, 남아메리카대륙과 아 프리카대륙에서 공통적인 생물 화석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대륙이 붙어 있었다면 이 동물은 걷거나 뛰어서 이동했겠지만 떨어져 있었다면 넓은 남대서양을 날거나 헤엄쳐서 이동했을 것이다. 만약 날거나 헤엄쳐 남대서양을 건널만한 능력이 있었 다면 화석은 남아메리카대륙과 아프리카대륙만이 아닌 또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되어야만 한다. 하 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세 번째,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에서 같은 구조와 암석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애팔래치아산맥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산맥을 붙이면 산맥은 연장되고 발견되는 암석들이 비슷하다.
마지막은 고기후의 문제다. 인도와 호주 등 적도부근의 지역에서도 빙하의 흔적이 나타난다. 이 지역들이 계속해서 적도 부근에 있었다면 빙하는 이들 지역에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베게너는 이러한 증거들을 제시하면서 대륙이동설을 주장했다. 하지만 여전히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대륙이 이동하는 이유, 즉 대륙을 이동하게 하는 힘을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후 학자들이 연구(바다 내부의 모습을 지도로 만들 수 있게 되었고, 지진에서 발생된 지진파를 통해)를 통해 증거들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대륙을 이동시키는 힘은 맨틀의 대류라 제시하며 대륙이동설을 판구조론으로 발전시켰다.
<판구조론>
대륙이동설에서 발전된 판구조론은 움직이는 대륙을 판으로 정의하고 움직이는 원동력을 맨틀의 대류로 설명하였다. 판은 지각과 최상부의 맨틀로 이루어진 암석권의 조각이다. 암석권의 조각이 유동성을 갖는 맨틀의 일부인 연약권 위를 움직인다. 이러한 판의 움직임으로 지진, 화산활동, 구조산맥들이 생겨난다. 지구를 덮고 있는 판은 커다란 7개의 판-북아메리카판, 남아메리카판, 유라시아판, 태평양판, 아프리카판, 인도-호주판, 남극판-과 중간크기의 카리비안판, 나쯔카판, 필리핀판, 아라비아판, 코코스판, 스코티아판, 그리고 이외의 작은 여러 개의 판이 있다. 이러한 판들은 서로 그 끝은 맞대고 있는데 그 경계는 판이 소멸되는 수렴경계와 판이 생성되는 발산경계, 유지되는 보존경계가 있다.
대륙이동설은 과거의 지구 모습과 맨틀의 대류에 의한 판의 이동 현상을 연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예전 지구의 모습과 기후 등을 연구할 수 있었다. 지금 일본의 강 지진(태평양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침강)이나 태평양 섬들의 소멸 등의 현상은 대륙이동설로서 설명이 가능하므로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지구의 모습변화에 대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는데 대륙이동설이 과학적으로 중요성을 갖는다.
'과학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보가드로 수의 발견 - 성열중 (0) | 2007.04.15 |
---|---|
혈액형의 발견 - 유미소 (0) | 2007.04.15 |
공통과학 과목 과제 공지 (4) | 2007.04.11 |
conceptdraw mindmap (0) | 2007.04.11 |
top 10 discoveries in Science (14) | 2007.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