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화장품에 있어서의 법규제의 현상과
글로벌리제이션
제1절
화장품의 법규제의 현상과 하모나이제이션의
과제
1. 처음에
2. 주요 각국의 법규제의 개요
(1) 일.미.유럽의 화장품 규제
(2) 중국·대만·한국에 있어서의
화장품 규제
3. 국제적인 하모나이제이션의
흐름과 현상
4. 국제적인 하모나이제이션의
과제
(1) 규제의 지방 분권
(2) EU에 있어서의 REACH 규제
제2절 아시아(한국, 대만, 중국)에
있어서의 화장품의 표시·광고
규제의 현상과 과제
제3절 EU화장품 법규제의 현상과
문제점
1. 처음에
2. EU화장품 지령의 역사와
목적
(1) 정의
(2) 성분
(3) 관할 관청에의 정보 제공
(4) 표시
(5) 제품 파일(Product Information
File)
(6) 소비자 정보
3. 최근의 토픽
(1) RAPEX(RAPID ALERT SYSTEM)
(2) 산케아 제품의 표시
(3) 동물 실험
(4) CMR
4. 끝에
제2장
유용성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의
피부의 계측·시험·평가 기술
제1절 피부 특성에 관한 측정·시험·평가
1. 피부의 보습성
(1) 각질층 수분 측정
(2) 바깥고리경계 변화와 각질층
수분량(빈틈 콘-100)
(3) 가령 변화와 각질층 수분량(빈틈
콘-100)
2. 피부의 유연성
(1) 피부 유연성 측정
(2) 가령 변화와 Ua/Uf(큐트
미터)
3. 피부의 배리어 기능
(1) 피부 배리어 기능의 측정
(2) 바깥고리경계 변화와 배리어
기능(TEWL)
(3) 가령 변화와 배리어 기능(TEWL)
4. 피지 분비 기능
(1) 피지 분비의 측정법
(2) 바깥고리경계와 피지량(오스뮴산여과지법)
(3) 가령 변화와 피지량(오스뮴산여과지법)
5. 피부색
(1) 피부색 측정
(2) 바깥고리경계 변화와 피부색
(3) 가령 변화와 피부색
제2절 피부 상태에 관한 측정·시험·평가
1. 피부염
(1) 피부염(건조) 상태
(2) 피부염(건조)의 원인
(3) 피부염(건조)의 측정법
2. 해 원
(1) 해 원 상태
(2) 해 원의 원인
(3) 해 원의 측정법
3. 느슨해짐
(1) 느슨해짐 상태
(2) 느슨해짐의 원인
(3) 느슨해짐의 측정법
4. 생기잃어
(1) 쿠스 봐 상태
(2) 쿠스 봐의 원인
(3) 쿠스 봐의 측정법
5. 미백
(1) 배어·주근깨 상태
(2) 배어·주근깨의 원인
(3) 미백(배어·주근깨의 개선)
효과의 측정법
(4) 미백제의 평가 결과
제3절 유용성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의
경피흡수 평가의 포인트
1. 경피흡수 메카니즘
(1) 경피흡수 과정
(2) 경피흡수 속도
(3) 경피흡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4) 제형에 의한 경피흡수에의
영향
2. 경피흡수 평가의 현상
(1) 평가법
(2) OECD의 경피흡수 시험 가이드
라인
3. 피부 모델
(1) 분류와 특징
(2) 피부의 조정법
4. 경피흡수 평가용 관련 장치
(1) 피부 처리용 장치
(2) 확산 셀
(3) 평가용 시험 장치
제4절 동물 실험 대체법을 근거로
한 화장품 제재 및 화장품 원료의
안전성 평가
~각종 시험의 실시
포인트~
1. 처음에
2. 동물 실험 대체법에 따르는
안전성 평가에 대해
3. 단회투여 독성 시험
4. 피부 일차 자극성 시험
5. 연속 피부 자극성 시험
6. 광독성 시험
7. 피부 감작성 시험
8. 광감작성 시험
9. 눈자극성 시험
10.사람 패치 테스트 시험
(1) 패치 테스트 피험자
(2) 패치 테스트 실시 부위
(3) 판정·평가
(4) 패치 테스트 유닛
(5) 컨트롤
11.정리
제5절 화장품 및 화장품 성분의
안전성 정보·데이터의 읽는 법에
대해
1. 처음에
2. 화장품 원료의 안전성 평가
(1) 원료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
대해
(2) 평가 원료의 선정
(3) 단회투여 독성
(4) 피부 일차 자극성
(5) 연속 피부 자극성
(6) 광독성
(7) 피부 감작성
(8) 광감작성
(9) 눈자극성
(10) 사람 패치 테스트
3. 정리
제6절 민감기용 화장품의 유용성
평가
1. 민감피부에 대해
2. 민감기용 화장품의 기본적인
생각
3. 민감기용 화장품의 안전성
4. 민감피부 특유의 피부 생리
특성
(1) 피부의 바리어 기능의 저하
(2) 각층안IL-1ra/IL-1α ratio
(3) 각층 세포의 형태학적 특징
(4) 아토피성 피부염과 피부
상주균총
(5) 코니파이드엔베로프
(6) 스틴깅테스트
(7) 미용 피부과 영역과 민감피부
화장품
5. 민감피부 평가의 향후
제3장 각 제품별·고기능성 화장품의
최신 개발 동향과 기술 특징(유용성
평가)
제1절
스킨 케어 화장품(개론)
1. 제품 레벨에 있어서의 유용성
평가의 포인트
(1) 화장품·의약 부외품에
있어서의 「제품 레벨」의 유용성과는
(2) 종합 평가로서의 유용성
평가
(3) 제품 레벨의 평가와는 복합계로의
평가
2. 유용성 평가 실시의 포인트
(1) 시험 계획 입안의 중요성
(2) 효율이 좋은 관능 평가방법의
실시
3. 스킨 케어 화장품의 유용성
평가 ~아이템별의 포인트~
(1) 세정료
(2) 화장수
(3) 에마르션(보습 크림·보습
유액)
(4) 미용액
(5) 팩, 맛사지
제2절 스킨 케어 화장품(제품마다의
사례)
제1항피부 세정료
제2항에마르션 화장품(에마르션막평가)
1. 보수 효과와 폐색 효과의
양립
①보수 효과와 폐색 효과를
높이는 에마르션막설계
②친유 영역에의 물의 분산
③친수 영역의 구조 강화
④보수 효과와 폐색 효과의
평가
⑤에마르션막 상태 관찰
⑥연용 평가
2. 사용감의 향상
①폐색 효과와 사용감을
높이는 에마르션막설계
②유화제의 검토
③알긴산PGA를 활용한 에마르션의
안정화
④에마르션막 상태와 사용성
평가
제3항팩
①처음에
②팩의 종류와 기능
③팩제의 성분
④제품마다의 사례
·보습용 피르오후팍크
·잔주름용함수 겔 팩(시트상)
·각전제거용 피르오후팍크(시트상)
⑤끝에
제3절 파운데이션
1. 화장 마무리
(1) 소프트 포커스 효과
(2) 맨살감
2. 표정이나 인상에게 주는
영향
3. 연색성
(1) 포트크로믹크성
(2) 칼라 사진의 백부대응 파운데이션
4. 화장 소유
(1) 젖는 성질의 개량(발수,
발유 처리)
(2) 피지의 흡수
5. 자외선 방어 효과
6. 보호 기능
7. 정리
제4절 포인트 메이크 화장품
제1항립스틱
①립스틱의 품질
②립스틱의 품질 특성의
평가
·마무리 품질
·관능 품질
·기능 품질
제2항마스카라 제품
①마스카라 제품 개론
·마스카라의 화장 효과
·마스카라에 사용되는
원료
·마스카라의 제품제형
·마스카라에 사용되는
주된 제조 기기
·미생물 오염 대책에 대해
②소재에서 본 마스카라
제품에 있어서의 종래 기술과
트랜드에 대해
·섬유
·수지
제3항네일 에나멜
①구성 성분
②구할 수 있는 기능과
최근의 기술 동향
제5절 두발 관련 화장품
제1항샴푸, 컨디셔너(린스)
①샴푸
·기본적인 특징과 배합
성분
·기능 분류
·샴푸의 데미지 케어 및
보수 기술
·샴푸의 유용성 평가
②컨디셔너(린스)
·기본적인 특징과 배합
성분
·기능 메카니즘
·컨디셔너의 데미지 케어와
보수 기술
·컨디셔너의 유용성 평가
제2항헤어 스타일링제
①헤어스타일의 변천과
헤어 스타일링제의 기술 특징
·남성 헤어스타일 트랜드와
주요 헤어 스타일링제
·여성 헤어스타일 트랜드와
주요 헤어 스타일링제
②각종 헤어 스타일링제(헤어
왁스를 제외하다)의 특징과 기능
·포마드/헤어 스틱
·헤어 리키드
·헤어 젤
·헤어 스프레이/헤어 미스트
·헤어 폼(헤어 무스)
③헤어 왁스의 특징과 최신의
개발 동향
·헤어 왁스의 특징과 기술적
배경
·헤어 왁스의 최신의 개발
동향
④헤어 스타일링제의 유용성
평가
·세트력의 평가법
·세트 보관 유지력의 평가법
·모발의 윤기
·모발의 프레이 킹
제3항헤아카라링제
①처음에
②최근 10년의 산화염모제의
개발 동향
·에어졸 2련관크림 타입
·도포도구 일체형 이중구조
아플리케이터-
·기염모용의 산화염모제
·저취·무취 타입의 산화염모제
·스퀴즈 포머-의 아플리케이터-
③산화염모제의 제품 개발
및 유용성 평가에 있어서의 포인트
·색조 설계에 있어서의
포인트
·모발 손상 평가법의 최신
기술
·자극감 평가법의 최신
기술
·산화염모제의 향후의
과제
제4항탈색·탈염제
①시장동향
②탈색·탈염제의 분류
③탈색·탈염제의 메카니즘
④현재의 탈색제의 문제점
⑤탈색제의 기술 동향
제5항육모제의 개발
①개발의 경위
·피부혈류촉진 작용 생약의
탐색
·세포 증식 작용 생약의
탐색
·생약의 육모·발모 작용
②생약의 시너지(synergy)효과에
의한 육모제의 처방 개발
·피부혈류촉진 작용에
대한 생약의 시너지(synergy)효과
·품질 공학을 이용한 최적
처방의 선택
③사람에 대한 사용 시험
·남성형 탈모증에 대한
사용 시험
·여성의 우스게에 대한
사용 시험
제6절항노화(안치에이징) 화장품/소재의
개발
1. 풀러 렌이란
2. 풀러 렌 화장품의 역사
3. 풀러 렌 화장품의 효능
4. 풀러 렌 화장품이 높은
안전성
5. 풀러 렌 화장품의 래디칼
소거 활성
6. 풀러 렌 화장품의 AAW (Anti-Aging
Whitening:노화 방지와 미백의
양립) 효과
7. 풀러 렌 화장품의 모공
긴축 효과
8. 풀러 렌 화장품의 실용화예
9. 풀러 렌 화장품의 향후
제4장 관능 평가를 사용한 사용감
평가
제1절 관능 평가와 상품개발 프로세스
1. 관능 평가와 상품개발 프로세스
(1) 관능 평가의 조사 스타일
(2) 관능 평가란
(3) 사용감 평가의 기본 프레임~시뮬레이션
모델로서의 사용감 평가
(4) 목적을 명확화시키는 것
(5) 업무 모델로서의 사용감
평가의 진행방식
2. 상품개발에 있어서의 관능
평가의 역할
(1) 분석과 기호
(2) 관능 평가의 목적
(3) 개발 스텝과 관능 평가의
목적
제2절 관능 평가의 활용법
1. 관능 평가 수법 개설
(1) 식별 시험법
(2) 척도 또는 카테고리를 이용하는
시험 방법
(3) 분석형 시험법 또는 기술적
시험법
2.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의
관능 평가 수법
(1) 평가 항목
(2) 척도
(3) 평가방법
3. 상품개발 프로세스와 관능
평가의 활용
(1) 상품개발 프로세스에 보는
관능 평가의 역할
(2) 프로세스별의 평가방법
제3절 관능 평가 시험의 실시
방법
1. 관능 평가 시험의 설계
(1) 기본적인 흐름
(2) 각 단계별의 기본적인 움직여
2. 질문표(앙케이트 용지)의
설계
(1) 뛰어난 조사표(앙케이트
용지)란
(2) 작성의 순서
(3) 작성의 준비
(4) 조사표의 작성
(5) 조사표의 시행
(6) 조사표의 검증
3. 결과의 고찰
(1) 기본적인 생각
(2) 순서
(3) 목적을 잃지 않는 것
4. 실시에 있어서의 문제점
(1) 시뮬레이션 모델로서의
문제점
(2) 관능 평가로서의 문제점
(3) 루틴화한 수법에 관한 문제점
(4) 문제점의 극복 방법
제4절 패널 선정과 교육
1. 패널을 집단으로서 생각하는
(1) 관능 평가에 있어서의 패널이란
(2) 패널을 특징지우는 요인
(3) 일반 패널에 관한 유의점
2. 패널을 구성하는 사람을
생각한다
(1) 사람이 주는 관능 평가에의
영향과 대응
(2) 능력·지식
(3) 사용 경험
(4) 피부질
(5) 성격
3. 어떻게 패널의 구성을 해
나갈까
(1) 패널 편성을 해 두는 중요성
(2) 전문 패널(분석형 패널)의
선정과 유지 관리
(3) 일반 패널(기호형 패널)의
선정과 유지 관리
제5장 사용감의 계측 기술과 유동학
평가
제1절 사용감의 계측 기술과 기능
개량의 포인트
1. 메이크업 제품의 사용감
2. 사용감의 기기 계측
(1) 분체 제품의 사용감
(2) 사용감의 계측 방법
(3) 사용감과 소재
3. 기기 계측에 근거하는 사용감의
개량
(1) 고형 성형품의 경도와 사용감
(2) 고형 성형품의 경도와 메이크
기능
제2절 화장품 제재에 있어서의
유동학 평가 ~제품 사례를 근거로
해서∼
1. 유동학에 관한 기초지식
(1) 비선형점탄성
(2) 선형점탄성
(3) 유동학 측정 방법
2. 화장품 제재의 유동학 평가
(1) 비선형점탄성 측정~사용
감촉 평가
(2) 선형점탄성~사용감 평가
안정성 평가
제6장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화장품 고급감 연출에 있어서의
각종 포인트
제1절
감성 공학의 수법을 이용한 고급감의
평가와 물건 만들기
①고급감에 대해
·고급감의 생각
②고급감을 만들어 내는 공학,
감성 공학
·감성 공학이란
·고급감 평가와 감성 공학의
방법
③고급감과 고품질감
·고급감, 고품질감은 평가성
척도
·영국인의 고품질감·고급감,
프랑스 사람의 고품질감·고급감
제2절 고급감을 연출하는 향기의
트랜드와 개발 ~향기나에 있어서의
고급감이란∼
①향기나에 있어서의 고급감의
이미지 패턴
·향기의 경우, 고급감을
느끼는 개인차가 크다
·개인의 체험, 흥미, 가치관에
의해서 고급감의 이미지가 다르다
·향기의 경우, 민족성, 인종성에
의한 음식에 수반하는 문화의
차이
②어떠한 향기가 고급감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인가
·일본의 향기는 센시티브
·오렌지의 향기
·향수의 지지율
·연령층에 의한 고급감의
차이
·향기나에 관한 화장품 이외의
다른사의 시도
③목적·목적에 맞은 고급감이
있는 향기의 표현이란(타겟 선정)
·화장품에 의해서 부향의
방법이 다른
·폐사의 향기에 대한 부가가치와
고급감의 시도
·향기로 승부
·고급감의 연출
제3절 고급감을 연출하기 위한
칼라/색채 표현의 포인트
①보틀, 패키지에 있어서의
고급감
②칼라의 견해·효과적인 정리의
방법
③고급감을 나타내는 기본 칼라
④고급감과 질감
⑤칼라·이미지의 적확한 파악하는
방법
제4절 「고급」을 낳는 브랜드
구축의 포인트
①「고급」을 구성하는 팩터
②「고급」을 낳는 상표 설정
③「부유층」연구로부터 「고급」을
낳는 키워드를 추출
·가격
·품질
·기능
·배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