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란화학사전/화학용어

국제 도량형 - 미터

국제 도량형의 바탕은 미터(meter)이다. 미터란 그리스어의 ‘재다’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원래 18세기 말 프랑스에서 지구 자오선 길이의 1/4천만을 1 m로 할 것을 제창하고, 이를 토대로 백금 미터원기가 만들어졌는데, 이 원기는 그 보관장소의 이름을 따서 메트르 데 아르시브(Métre de Archives)라고 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과학적으로 고도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도량형의 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미터를 비롯하여 그에 따른 모든 측도를 새로이 조정해 왔다. 1960년에 국제도량형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Weights and Measures)에서 길이의 기준으로 크립톤(Kr)의 주황색 스펙트럼 선의 파장을 선택하고, 그 165763.73 배를 1 m 로 하기로 결정하였다.

매우 작은 물체의 길이를 되도록 정확히 표기할 때에는 1m의 10억분의 1인 나노미터(nm)를 쓰기도 한다. 또한 대단히 크거나 작은 양을 나타낼 때에는 특별히 거듭제곱을 사용하여 정의된 용어를 사용한다. 이를테면 1백만은 '메가 mega'(106 , 기호는 M), 1백만분의 1은 '마이크로'(10-6, 기호는 μ) 가 그것이다.
(두산세계대백과사전)

'파란화학사전 > 화학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쾌지수  (0) 2007.08.25
우리나라 전통 단위  (0) 2007.05.03
k 볼츠만 상수  (2) 2007.02.17
용액의 농도 단위  (0) 2004.11.02
위키미디어  (0) 200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