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중등화학실험

오징어먹물 성분

wizysl 2008. 11. 13. 16:52
안녕하세요.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오징어 먹물은 항암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가가와대학 오쿠타니 교수는 오징어갑골에서 항암 물질을 추출하여 복수암 세포에 투여한 결과 암세포 성장률이 40~55%까지 억제되었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고 밝혔다. 1995년 7월 일본 아오모리 산업기술개발센터에서 오징어 먹물로부터 분리한 항종양 활성성분은 콘드로이틴황산과 같은 뮤코다당류의 일종인 일렉신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국내에서도 2002년 5월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수산과학대학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 제2회 수산 공개강좌에서 수산물에 포함된 고기능성 소재의 이용기술 20여 가지가 소개되어 눈길을 끌었으며, 특히 “수산물 고기능 약재 풍부 노화방지라는 제목으로 수산물에 포함된 고기능성 약재를 이용해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암으로부터 우리 몸을 지켜주는 식품 54종으로도 오징어먹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최근 일본에서 오징어 먹물이 항암 및 항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지면서 오징어 먹물이 첨가된 피자를 비롯하여 빵 라면 국수 등이 잇따라 개발되었다.
그 동안 알려진 오징어 먹물의 생리작용으로는 방부 작용 및 위액 분비 촉진 작용이 있으며 우리나라 어촌에서는 치질 치료의 민간요법에 이용되기도 하였다. 오징어먹물로부터 추출한 물질이 항암, 항균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일본 TV등 언론에 보도된 뒤 오징어먹물 소스, 이태리 파스타 소스, 오징어 먹물 카레, 포테토칩 오징어 먹물맛, 프루우트 캔디, 오징어 먹물 스낵 등 오징어먹물을 이용한 식품개발이 잇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오징어 먹물을 첨가한 스낵이 시판되고 있는 중이다.

또한 오징어 먹물은 동종요법(同種療法)치료법으 로서 사용된다. 동종요법은 1810년에 독일 의사 사무엘 하네만(Samuel Hahnemann)이 발표한 새로운 치료법이고, 당시 의학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그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그 질병의 증상과 비슷한 증상을 일으키는 약제를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한 열을 일으키는 말라리아 치료는, 정상 사람에게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키니네를 씀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자신의 학설을 뒷받침하는 예로 들며 설명했다. 동종요법 약물은 꽃, 뿌리, 열매, 채소, 씨앗, 염분, 뱀독, 꿀, 오징어 먹물 등 천연물에서 추출한 제재들이다. 이들은 알약, 물약, 연고, 과립 등의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오징어의 먹물은 연체동물 중 두족류에 속하는 오징어, 문어 및 낙지류에서만 볼 수 있는 특유한 기관인 먹즙낭에서 분비되는 검은 액체다. 주성분은 검정색의 멜라닌 색소로 우리 피부를 검게 하는 색소와 동일한 물질. 오징어 먹물은 오징어의 종류에 따라 그 양이나 성분이 다른데, 한 마리당 먹물의 양은
1~10g으로 많은 차이가 난다고 한다. 오징어나 문어가 놀라거나 성이 나면 먹물을 뿜는데, 처음에는 포식자의 시야를 가리는 연막 효과만 있는 것으로 여겼다. 이후 연구 결과 포식자인 곰치의 후각이나 미각 등 전반적인 감각기능을 마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두족류의, 화학무기로 알려졌다.

Pigment Cell Research

Volume 5 Issue 3, Pages 143 - 147

Published Online: 28 Jul 2006

2007 The Authors, Journal Compilation 2007 Blackwell Munksgaard


Abstract |  References  |  Full Text: PDF (Size: 504K)  | Related Articles | Citation Tracking

Melanin Standard Method: Empirical Formula
M.R. CHEDEKEL, 1, 2 B.L. MURR 3 , L. ZEISE 1, 2
  1 Facility for Advanced Instrumen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Davis, CA 95616;   2 Mel-Co, Orland, CA 95963;   3 Department of Chemistry, Johns Hopkins University, Baltimore, MD 21218.
Correspondence to  Address reprint requests to Miles R. Chedekel, Mel-Co, Rt. 5 BOX 5516, Orland, CA 95963.
Copyright 1992 Munksgaard
KEYWORDS
Amino acid analysis • Eumelanin • C to N ratio • Elemental composition

ABSTRACT

Melanin isolated from the ink sac of cuttle fish (Sepia melanin) is a proposed standard for natural eumelanin. Sepia melanin isolated by a standard protocol was submitted for both elemental analysis and quantitative amino acid analysis. The contribution of the detected amino acids to the elemental composition is subtracted from the total elemental analysis, and the resultant elemental composition reflects the composition of the Sepia melanin backbone chromophore. The assumption is made that, for eumelanins, there is only one nitrogen atom per monomeric unit, and thus, the empirical formula for the average monomeric Sepia melanin backbone chromophore was determined. Three key parameters can be determined for any melanin sample; namely, the molar C/N for the average monomeric unit, the formula weight of the average monomeric unit, and the total percent composition of amino acid residues. Three commonly used melanin preparations, namely, natural Sepia melanin, melanin prepared by the in vitro tyrosinase catalyzed polymerization of tyrosine (tyrosine-enzymatic melanin), and a polymer synthesized by the peroxide oxidative polymerization of tyrosine (tyrosine-chemical melanin), have been subjected to this standard method of characterization. Tyrosine-enzymatic and Sepia melanin are quite similar and tyrosine-chemical melanin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other two melanins.